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2023년 검은 토끼의 해 -> 최저임금, 소비기한 표시제, 대학 입학금, 부모급여, 족보브레이커

by 쏘세지입술 2022. 12. 27.
반응형

이제 새해까지 며칠 남지 않았는데요.
검은 토끼의 해를 맞아서 몇 가지 알아두면 좋을 바뀌는 것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Let's get it!~


 

1. 최저임금 인상

2023년부터는 최저임금이 9620원인데요. 지금 현재 최저임금과 비교해봤을 때 무려 460이나 오른 금액입니다!!
주유 수당에도 변화가 있는데요. 
그전에! "주유 수당이 뭔가요?"라고 질문하시는 분들이 있을까 봐 먼저 설명 들어갑니다~


주유 수당이란! 
"일주일 임금의 평균, 일주일 동안 개근하면 주어지는 유급휴일 수당을 뜻합니다 (주 40시간 기준)"


이렇게 인상된 최저임금으로 하루 8시간씩 주 5일을 일하면 월급이 200만원이 조금 넘는다고 하네요!

 

**

다만 노동시장 개편을 권고하는 전문가들이 주휴수당 제도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해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라고 하네요. 
현행 주 52시간에서 69시간까지 근무 시간을 늘리는 방안도 내놨는데요.
기존 주단이었던 초과근무 관리 단위를 월 분기 반기 연 단위로 바꾸겠다는 거죠.
이렇게 되면 한 해 최대 주 69시간 하루 11.5시간을 일하게 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 권고안을 바탕으로 법을 만들어 곧 국회로 넘게 계획이라고 합니다
과연 이것이 좋은 파도를 가져올지 조금 더 지켜봐야겠어요.
한국이 너무 외국을 따라가려고 하다 보니 너무 성급히 52시간으로 제한하지 않았었나 생각이 됩니다.

**


2. 소비기한 표시제

돌아오는 새해부터는 식품에 적혀있는 날짜를 더 유심히 보셔야 할 이유가 생겼습니다!

내년부터는 식품에 적혀있는 날짜가 유통기한이 아닌 소비기한 표시제로 바꿨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바로 유통기한이 폐지되지는 않고 1년 동안 궤도 기간을 거친다고 하니 당분간은 유통기한 + 소비 기간을 모두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소비 기간이 보통 유통기한보다는 기간이 길다 보니 폐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죠~


3. No More 대학 입학금 

내년부터 대학 진학할 때 지불하는 입학금이라는 개념이 없어진다고 합니다.

정부는 학자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대학 입학금을 단계적으로 줄여왔습니다.

올해를 기준으로 평균적인 입학금은 72,000이였는데요. 이 돈을 더 이상 낼 이유가 사라졌네요.

하지만! 대학원생들은 포함이 되지 않는다고 하니 꼭 유의해주세요!!


4. 부모 급여

내년부터 만 0세와 1세 아동이 있는 가정은 부모 급여를 받습니다.

출산과 양력 초기 가정의 소득 손실을 보전하려는 목적인데요.

만 0세 부모에게는 월 70, 만 1세 부모에게는 월 35만원이 지급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저출산으로 매우 많은 이슈와 문제를 예상하는데요. 이러한 정책이 조금이라고 저출산 문제에 기여해서 출산율이 상승하길 바라봅니다. 우리 모두 기여해보자고요! (그 전에 결혼을 먼저.....)


5. No More 족보 브레이커

"빠른" 하는 문화는 우리나라 밖에 없을 겁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내년부터는 우리나라도 드디어 만 나이를 도입합니다.

지금까지 한국식 나이는 태어나자마자 1세로 정하고 새해마다 한살씩 늘어났죠.

내년 6월부터는 출생일 0세대 기준으로 생일마다 한살이 늘어나는 만 나이로 통일이 된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올해 22년도 어떻게 보내셨나요? 

저는 아주 정신없이 지나갔지만 많이 남는 한해였던 거 같은데요. 

올해에 후회를 원동력 삼아서 내년에는 더욱더 성장하는 한해가 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우리 모두 화이팅해서 내년에는 복 많이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미리 Happy New Yea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