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ETF 투자하고 싶은데 아무것도 모른다고? ETF 초보만 들어와 (feat. 정의, 종류)

by 쏘세지입술 2023. 2. 18.
반응형

나이는 먹어가고 다들 투자는 시작하는거같은데 무작정 주식투자하기는 겁나고... 

투자 경험이 없거나 지식이 부족하면 ETF부터 시작해보라고 다들하더군요. 

주식하려면 재무재표다, 차트다, 시장이다 등등 많은 부분을 알아야하는데요.

그에 비해 ETF는 초보 투자자들에게는 리스크가 적은 상품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랑 같이 공부해보시죠~

 

 

개요

1. ETF가 무엇인가요?

2. ETF의 장점

3. ETF에 종류


ETF 넌 뭐니?

 

ETF는 Excah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상장지수 펀드라고 합니다. 

말에서 확인할수 있듯이 ETF는 펀드임과 동시에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주식과 같은 성격을 뜨고 있는게 장점이자 특징입니다. 아직 이 말만 듣고는 ETF가 뭔지 감이 잘 안오시죠? 

 

주식 + 펀드 ->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출처: 이데일리

 

위에 만화는 투자를 할때 하나의 종목에 투자하는것 보다는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있는데요. ETF는 보통 우리가 주식하면 생각나는 직접투자, 예를 들어 "삼성전가 1주, SK 하이닉스 1주"를 투자자가 직접 매수하는것이 아닌 여러개의 기업에 분산투자를 합니다. 

주식처럼 사고 파는게  자유롭지만 하나에  주식종목에 투자하는것이 아닌 여러개의 종목에 투자 하다보니 시장의 수익률을 따라서 움직입니다.  또한 지식이 아주 출중하신 펀드 매니져가 운용해주니 저처럼 주식을 잘 모르고 개인 투자로 기업분석을 할수 없는 상황이라면 ETF가 가장 좋은 방법인거 같네요.


ETF 투자의 장점

 

1. 적은 금액으로 여러개의 종목에 투자(분산투자)가 가능하다. 

출처: https://finance.daum.net/domestic/market_cap

23년 2월 17일 기준 코스피 탑10입니다. 만약 이 10개의 기업들에 전부 투자하고 싶다면 투자금이 굉장히 많이 들어가겠죠? 물론 소수점 단위로 투자를 할수있다고 하지만 그래도 투자금이 상당히 많이 들어갈겁니다. 하지만 적은 금액으로도 ETF는 매수가 가능합니다. 

출처: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2150

위에 사진은 Tiger 탑10 이라는 미래에셋 증권에서 운영하는 etf입니다. 작은 금액으로도 우리의 투자금을 펀드 매니져가 적절하게 배분하여서 위와 같이 많은 기업에 투자할수 있습니다. 

 

2. 원할때 사고, 원팔때 팔고

 

ETF는 펀드임과 동시에 증권사에 상장되있는 주식에 형태를 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렇기에 펀드임에도 불구하고 주식과 같이 mts를 이용해서 매수,매도가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핸드폰 어플을 이용해 쉽게 거래가 가능하다는것이지요. 

 

 

3. 종목 변경 & 비중 조정

 

기본적으로 펀드란 펀드 매니져가 관리해주지요. 투자하는 종목들이 변하지 않고 똑같은 종목에만 투자하는것이 아닙니다. 주가 변동성에 따라 어떤 종목은 매도하고 새로운 종목을 매수할수도 있지요. 또한 각각의 종목의 비중또한 조정되는 이것또한 펀드 매니져가 관리해주는것입니다. 

 

 

4. 저렴한 운용보수 & 투명한 운용

펀드는 운용보수가 더 비쌉니다.

또한 보유 종목이 매일 공개되지 않습니다. 

 

위에 차트에 보시면 투명성이 인덱스펀드와 액터브펀드와 비교했을때 높고 또한 증권거래세또한 ETF는 면제임을 볼수있습니다. 

 

5.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ETF

 ETF의 종류는 정말 어마무시합니다. 크게 7가지 종류로 나눌수가 있습니다. -> 지수추종, 배당, 섹터, 테마, 레버리지, 채권, 기타 등등

 

지수추종: 코스피, 나스닥, S&P500과 같은 지수을 따라가는 ETF입니다.

배당: 배당기업들을 모아놓은 ETF입니다.

섹터: 기술, 에너지 등등 같은 분야의 색터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테마: 반도체, 클라우드, 사이버 보안같은 하나의 구체적인 테마를 가지고 있는 회사들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나머지는 너무 복잡해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ETF

 

출처: https://finance.naver.com/sise/etf.nhn

현재 국내에 상장된 ETF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모든 ETF 앞에는 Kodex, Tiger와 같은 영어 단어가 보일텐데요. 이것은 어느 증권사에서 운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것입니다. 위에 사진에 나오지는 않았지만 Ace, KBStar, SOL 과 같은 증권사도 쉽게 찾아보실수 있으실텐데요 밑을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Tiger: 미래에셋

Ace: 한국투자

Kodex: 삼성자산

KBStar: 케이비자산

SOL: 신한자산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dhOAPMhaimc

미국에 대표적인 주가지수 S&P500 ETF를 기준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ETF에 투자포인트 5가지 -> 상장일, 총보수, 자산규모, 섹터, 기업

 

위에 차트에는 미국 S&P500에 투자하는 ETF이기 때문에 섹터와 기업은 동일합니다. 

섹터는 지수를 따라는 지수추종이 될거고 기업은 S&P500 안에 들어가있는 미국의 500개의 기업을 뜻하겠지요.

 

그러면 상장일, 자산규모, 총 보수를 봐야하는데요. 

상장일 같은 경우는 오래되면 오래될수록 많은 경제위기를 겪고 아직까지 살아있다는걸 얘기해주기 때문에 그만큼 견고하다는걸 알수있겠지요. 얘를 들어 80s 년대에 3저 위기 또는 90년대에 IMF를 견뎠다면 그만큼 단단하다는걸 알수 있겠지요~

 

자산규모는 얼마나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지 또 많으면 많을수록 해당 회사가 쉽게 망하거나 휘청거릴 확률은 줄어들겠지요. 

 

마지막으로 가장 주의 깊게 봐야할 총 보수 입니다. 총 보수는 투자자인 우리가 지불해야하는 보수의 퍼센트 인데요. 낮으면 낮을수록 투자자가 지불해야하는 금액이 적은것이지요. 

위에 차트를 보면 자산규모와 상장일을 비교해봤을때 Tiger 미국 S&P500이 가장 견고한걸 볼수 있는데요. 그러다 보니 총 보수는 0.27%로 가장 높네요. 그에 반해 KB자산을 보면 자산규모는 1,853억으로 그리 높은 편해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총 보수는 0.68%로 가장 높습니다. 가장 투자하면 안될 종목이겠네요~ 

 


글을 마치며..

 

저같이 이제 막 투자를 공부하기 시작한 사람에게 ETF가 주는 또 하나의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바로 투자 아이디어를 얻을수 있다는건데요. 

예를 들어 에너지 시장이 미래에 크게 성장할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에너지 ETF를 보고 그 안에 상장되있는 회사들을 분석해보면서 개인투자 아이디어를 얻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ETF안에 상장되있는 회사들은 펀드 매니져와 같은 투자 전문가들에 지식을 바탕으로 추려졌을거기때문에 그 회사들을 분석하고 공부한다면 미래에 개인 직접투자에도 상당히 도움을 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상 글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