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ETF 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56. Part 1

by 쏘세지입술 2023. 2. 20.
반응형

ETF에 대해서 유튜브는 많이 찾아봤지만 관련서적은 찾아보지 않아서 일단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최소 관련 서적 2권은 읽어보자는 생각으로 책을 집어 들었다. ETF 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56 책은 ETF가 무엇이고 어떻게 운용되는지 기본부터 시작해서 심화 단계까지 ETF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투자자(나처럼) 라도 술술 읽히는 가독성이 좋은 책이다. 그리고 중간중간 이해하기 쉽게 그래프로도 설명해 주어서 좋았던 거 같다. 

 

오늘 읽었던 내용들 정리해 보겠다. 

 

목차
1. 투자전 답할 수 있어야 하는 기본 4가지 질문
2. ETF는 알겠어 근데 ETN, ELS는 뭔데?
3. 패시브 투자 vs. 액티브 투자?
4. ETF 상품명

 

 

우리는 주식투자하기전에 4가지 질문에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질문들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는다면 투자라기보다는 도박에 가깝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1. "왜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지"

 - 예금,채권,비트코인 등등 재테크 방법은 굉장히 많다. 왜 하필 주식인가?

2. "왜 한국시장에 투자하는지?"

- 한국시장은 세계시장에 비교한다면 견줄 수 없는 규모의 작은 시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한국시장에 투자하려 하는가?

3. "한국 증시에 투자해야 한다는 판단이 들었다면 어떤 업종에 투자할 것인지" 

- 반도체, IT, 에너지 등등 어느 업종에 투자할 것인가?

4. 마지막으로 기업분석을 해야 한다. 

- 본인의 돈을 하나의 기업 실적에 맡긴다면 적어도 그 회사가 어떤 회사인지 분석을 해야 한다. 

 

위에 질문들은 장기투자자들을 위한 질문들이고 단기투자자들은 추가적으로 한 가지의 질문에 답을 해야 한다

- " 왜 하필 지금인가?"

현시점에서 삼성전자의 단기 상승을 기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위에서 봤다시피 주식투자를 올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지식과 명확한 본인의 투자성향 파악이 필요하다. 

나와 같이 투자 경험이 없는 사람들한테는 위와 같은 질문들은 아직까지는 너무 하이레벨인 거 같다. 

 

여기서 ETF가 나온다. ETF를 활용하면 투자 전에 우리 투자자 본인에게 던져야 하는 질문이 1-2가지로 줄어든다. 

이와 이어서 책 초반에 나오는 질문들 "상장지수펀드(ETF)란 무엇인가요?, ETF와 펀드는 어떻게 다른가요" 등등

밑에 링크를 참조하기 바란다.

https://ldan-2022.tistory.com/entry/ETF-%ED%88%AC%EC%9E%90%ED%95%98%EA%B3%A0-%EC%8B%B6%EC%9D%80%EB%8D%B0-%EC%95%84%EB%AC%B4%EA%B2%83%EB%8F%84-%EB%AA%A8%EB%A5%B8%EB%8B%A4%EA%B3%A0-ETF-%EC%B4%88%EB%B3%B4%EB%A7%8C-%EB%93%A4%EC%96%B4%EC%99%80-feat-%EC%A0%95%EC%9D%98-%EC%A2%85%EB%A5%98

 

ETF 투자하고 싶은데 아무것도 모른다고? ETF 초보만 들어와 (feat. 정의, 종류)

나이는 먹어가고 다들 투자는 시작하는거같은데 무작정 주식투자하기는 겁나고... 투자 경험이 없거나 지식이 부족하면 ETF부터 시작해보라고 다들하더군요. 주식하려면 재무재표다, 차트다, 시

ldan-2022.tistory.com



처음 보면 헷갈리는 E 삼촌사, ETF ETN, ELS

 

 

ETF 들어보신 분들은 많지요? 하지만 ETN, ELS는 상대적으로 생소한 개념인 거 같다. 

 

ETN (=Exchange Traded Note) 상장지수증권

ETF와 ETN은 많은 점에서 비슷하다.

주식시장에 상장돼 있기 때문에 개별종목을 사듯 실시간으로 쉽게 거래할 수 있다.

또한 시장 지수 전체에 투자하거나 금, 은 같은 원자재 등 다양한 지수에 투자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상품을 만드는 "주체"가 다르다는 것이다. 

ETF는 자산운용사에서 만들고, ETN은 증권사에서 만든다. 

실제 코스피 200의 종목을 직접 담아서 수익을 내는 게 아닌 코스피 200만큼 수익을 내주겠다고 증권사가 약속하는 거다. 

같은 기초지수에 투자한다는 건 동일하다 하지만 만약 증권사가 망한다면 최악에 경우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ETF와 달리 ETN은 만기가 있다. 

만기일이 오면 그 시점의 수익률을 기준으로 투자금을 돌려받게 된다.

장기투자를 계획했던 바람이라면 만기 때문에 투자를 멈춰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ELS (Equity Linked Security)

- 기초자산으로 코스피 200이나 홍콩 H 지수 같은 지수나 삼성전가 같은 종목을 정한 다음, 이 지수나 종목이 특정 기간 동안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 5~7%가량의 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이다. 하지만 지수나 종목이 하락세라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 


 

패시브 투자 vs. 액티브 투자

 

액티브 투자는 적극적으로 종목을 발굴하는 투자이고 패시브 투자는 종목 발굴 대신 정해진 지수의 수익률을 따라가는 투자이다. 

액티브 투자는 지수를 보는 것이 아닌 특정 종목에 투자하여 시장보다 높은 수익을 내려고 하는 것이다 보니 시장에 대한 공부(전망, 경쟁 기업, 사업 내용 등) 해야 할 것이 많다.

그러다 보니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다. 

 

패시브 투자는 종목을 고르는 것이 아닌 시장 전체에 투자한다. 

패시브 투자의 철학을 상품으로 옮긴 게 '인덱스 펀드'이다. 시장 전체 지수(인덱스)에 투자하는 게 인덱스 펀드의 핵심 개념이고 여기서 ETF 개념이 발굴되었다. 


 

ETF 상품명

 

1. ETF 상품명에서 첫 부분은 ETF를 운용하는 운용사가 어딘지를 나타낸다. 
2. ETF 상품명의 두 번째 부분: 투자 지역

국내 증시에 투자하는 상품은 별도로 지역을 표시하지 않지만 해외 증시에 투자하는 ETF 상품들은 일본이면 일본, 미국이면 미국 이렇게 투자 지역이 명시된다. 
3. 투자 지역 다음: 기초지수(코시피, 나스닥, S&P500 등등)

BUT 국내 시장 대표지수인 코스피 200을 따라가는 ETF는 상품명에서 지수를 생략할 수 있다. ex) 'KODEX 레버리지' -> 기초지수가 나와있지 않지만 코스피 200이 기초지수임을 암묵적으로 명시
4. 기초지수 다음: ETF가 기초지수를 어떻게 따라가는지

기초지수에 움직임에 따라 영향을 받는 ETF를 '정방형 ETF'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상품이 정방형이기 때문에 만약 기초지수를 어떻게 따라가는지 명시가 돼있지 않다면 정방형인 것이다. 기초지수 반대를 따라가는 인버스, 혹은 단기간에 많은 수익률을 낼 수도 있는 레버리지 등등 여러 기초지수를 따라가는 메커니즘이 있다. 
5. 마지막으로 괄호 안에 해당 상품이 합성 ETF인지, 해외 지수를 추종한다면 환헤지를 하는지, 환노출을 하는지 나와 있다. 

합성 ETF란 운용사가 ETF에 직접 주식을 담기 어려울 때 증권사와 기초자산만큼 수익을 내도록 계약을 맺어서 운용하는 방식이다.  운용사가 직접 담기 어려운 주식이 뭐가 있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특정 테마를 가지고 있는 분야일 경우 (로봇, 환경, 반도체 등),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증권사와 협업하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지 않을까라고 생각해 본다. 
환헤지 & 환노출이란 -> 해당 ETF가 환율에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환노출은 환율에 영향을 받고, 환헤지는 환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환헤지 ETF는 상품명 맨 마지막에 (H)를 붙인다. 환율의 흐름과 상관없이 지수등락폭만큼 수익을 낸다. 

 

상품명 마지막에 'TR'이라고 붙은 상품들도 있는데 이것은 Total Return의 약자로 ETF가 담은 주식에서 나온 배당금을 투자자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이 아닌 재투자한다는 의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