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CentOS linux 설치 & mount 명령어 정리

by 쏘세지입술 2023. 3. 27.
반응형

CentOS Linux 

 

기본세팅은 다음과 같다

  • CPU: 2
  • Memory: 16GB
  • HDD: 20GB
  • ISO: CentOS7 64bit

Putty를 사용할 거 기 때문에 먼저 ssh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vi editor를 이용해 vi /etc/ssh/sshd_config을 열어 PermitRootLog in Yes의 주석(#)을 제거한다. 

커서를 #앞까지 가져다 놓고 'x'를 눌러 제거한다. 

# systemctl restart sshd를 눌러 변경된 설정을 적용한다. 

 

putty에 정상적으로 로그인했다. 

 


init 0 혹은 shutdown 명령어를 이용해 서버를 종료시키고 하드디스크를 추가한다. 

새 디바이스 추가를 클릭하고 하드디스크를 클릭한다. 

메모리는 똑같이 20GB로 설정하고 ISO 파일이 다시 실행되지 않도록 연결 부분을 언체크 해준다.

 

1. dmesg | grep sdb

다시 putty 접속하고 #dmesg | grep sdb를 실행해서 새로 추가한 HDD가 추가 됐는지 확인한다. 

* dmesg 명령어는 리눅스를 부팅하면서 생기는 모든 메시지를 저장한다. 

* grep 명령어는 특정 파일에서 지정한 문자열이나 정규 표현식을 포함한 행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 grep sdb 명령어를 실행시킴으로써 dmesg 안에서 sdb가 포함된 열을 보여준다. 

 

마지막 열에 '[sdb] Attached SCSI disk' 라고 확인됐다. 

 

2. fdisk /dev/sdb (파티션 생성)

 

fdisk는 파티션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로 파티션을 만들고, 업데이트, 삭제하는 기능 즉 마운트를 한다. 

 

fdisk 안에도 많은 단축키가 있다. (m을 누르면 확인 가능하다)

파티션을 생성하려면 n을 입력한다. 별도의 세팅은 하지 않고 모두 default로 세팅했다. 

* 위에 사진을 보면 First sector (2048 - 41943039) 라고 나오는데, 이는 위에 세팅하는 파티션의 읽는 시작과 마지막 위치를 나타낸다. 메모리 단위 (K, M, G)로도 세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w'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쓰기가 완료되고 fdisk에서 빠져나온다. 

 

다시 fdisk /dev/sdb에 들어가보면 sdb1 파티션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3. 포멧을 한다 a.k.a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다. 

명령어: mkfs -t ext4 /dev/sdb1

mkfs(make file system의 약자), -t(file-system type), ext4(extended file system)

한마디로 /dev/sdb1/의 파일 시스템을 ext4로 설정해라 

 

처음 인스톨할때 minimal로 설정해서 바로 설정이 완료되었다. 

 

4. 별도의 디렉토리를 만들어 그곳으로 sdb1을 마운트 하겠다. 

 

mkdir /data1 이라는 디렉터리를 하나 생성하고 mount /dev/sdb1 /data1 명령어로 /dev/sdb1을 /data1로 마운트 한다. 


cd ~ 명령어로 /root로 이동후 umount /dev/sdb1 입력하여 마운트를 해제한다. 

다시 /data1로 가보면 위에 사진에 나와있는 lost+found가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i editor를 이요해서 /etc/fstab을 연다. 

커서를 맨 밑으로 옮기고 순서대로 /dev/sdb1, /data1, ext4, defaults, 1, 2를 저장하고 빠져나온다.

변경사항이 있으니 리부트를 한다. 

 

리부팅 후 /data1에 들어가 보면 다시 마운트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명령어 정리

# dmesg: 리눅스를 부팅하면서 생기는 모든 메시지를 저장, 현재 리눅스의 모든 것 ex) dmesg | grep sda

# /etc/ssh/sshd_config: ssh 정보가 저장되있는 위치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ip 주소 정보가 들어있는 디렉터리 **는 이더넷 이름이 들어간다.

# nslookup: name server loopup DNS ip를 알려줌. * set type=any와 같은 명령어가 있다.

# cat /etc/fstab: 파티션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보여준다.

# more /etc/mtab: 마운트 되있는 정보들을 보여준다. 

# netstat: 네트워크 상태확인 *minimal로 install 했을 경우 #yum install net-tools bind-utils으로 필요한 툴을 다운로드하아야 할 필요가 있다.

# netstat -rn (r-> routing, n-> name omit)

 

반응형

댓글